투자정보
NH-Amundi Pick
K푸드부터 K뷰티 관련주 전망은 청신호? 주요 산업 전망과 우량 종목 투자 ETF 분석
- 등록일
- 2025.06.23
- 관련 태그
-
- 공유
- 관심등록
-
불닭볶음면과 홍삼을 극찬한 글로벌 래퍼 카디비(Cardi B), ‘한국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 올리브영 방문을 꼽은 미국의 팝스타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이게 진짜라고? 😲 글로벌 스타들의 한국 사랑은 인터넷과 SNS상에서 화제를 모으는 중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한류 열풍은 여전히 거세며, 국내 수출 실적과 주요 기업들의 활동 무대 또한 더욱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한때의 유행을 넘어 글로벌 문화로 성장하며 전성기를 갱신 중인 한류! 그 중심에 선 K-뷰티와 K-푸드 관련주 및 산업 전망, 그리고 핵심 기업에 고루 투자하는 HANARO ETF 투자 포인트까지 모두 공개합니다.
📌포스트 핵심 요약 K푸드 수출액 10년간 2배 증가 → 글로벌 셀럽들이 트렌드를 지속 견인 중 4월 국내 화장품 수출액 작년 대비 20.3% 증가 및 의료관광 소비액 사상 최대치 경신 HANARO Fn K-푸드 ETF와 K-뷰티 ETF는 경쟁력을 갖춘 각 분야의 선도기업들에 선별 투자 |
수출로 증명한 K-푸드, 산업 전망은?🔥
글로벌 수출 성장세와 산업 전망 분석 핵심 요약
🚀고공행진 K-푸드, 수출 실적과 스타 마케팅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K푸드 수출액은 10년간 2배 증가
└ 2015년 35억 달러 → 2024년 70억 달러
2024년 수출액 라면 13억 6,000억 달러, 간편식 9억 8,000달러, 음료 9억 4,000달러 등 기록
글로벌 스타들이 방송, SNS 등을 통해 K푸드를 소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K푸드가 확산
└ 미 방송에서 바나나킥을 소개한 블랙핑크 제니, 미국 래퍼 카디비의 붉닭볶음면 챌린지 등
🎢삼양식품, 실적 서프라이즈에 생산 능력 확대까지
삼양식품 25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발표: 1분기 영업이익 1,340억원, 순이익 990억원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7%, 영업이익 67%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 지속
북미를 중심으로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법인에서 매출 성장
올해 밀양 2공장 가동을 통한 생산 능력 증가로 하반기 실적 기대감 커짐
📊 라면 수출 사상 최대치 기록!
25년 4월 월간 라면수출실적은 1.3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 기록
23년 기준, 한국 라면의 수출 점유율은 20.3%로 세계 1위 라면 수출국 기
삼양식품을 비롯한 국내 라면기업의 해외 수출 실적 개선세는 지속될 것으로 기대
세계가 주목하는 K-푸드에 투자하는 ETF👨💻
- HANARO Fn K-푸드 ETF
📌상품 개요
세계로 뻗어나가는 K-푸드에 투자하는 푸드 테마 ETF
🎯투자포인트
K-푸드의 높은 성장세가 관련 기업들의 지속적인 매출 확대로 이어질 것
K 콘텐츠의 확산과 SNS 공유 문화로 K-푸드의 글로벌 저변 확대
변화하는 K-푸드 트렌드를 대표하는 HANARO K-푸드 ETF
💡포트폴리오
구분 | 종목명 | 편입비중(%) |
1 | 삼양식품 | 15.11 |
2 | CJ제일제당 | 14.99 |
3 | 농심 | 14.85 |
4 | 오리온 | 14.55 |
5 | 대상 | 6.81 |
6 | 빙그레 | 6.26 |
7 | 롯데칠성 | 5.96 |
8 | 롯데웰푸드 | 3.98 |
9 | 에스앤디 | 3.47 |
10 | CJ프레시웨이 | 2.86 |
*출처: NH-Amundi자산운용, 2025년 6월 18일 기준
*구성 종목 및 비중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전성기 갱신한 K-뷰티, 핵심 투자 포인트 🎢
- 지속되는 수출 호조 속 여름철 수출 모멘텀 확대
🙋K-뷰티 4월 수출 20% 상승!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4월 화장품 수출액은 증가세를 기록
2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K-뷰티의 수출 호조는 지속 중
4월 국내 화장품 수출액 10억 3,000만 달러 기록, 작년 대비 20.3% 증가
한국 자외선 차단제의 전세계 인기에 힘입은 여름철 수출 모멘텀 부각 기대
🔥여행도 이젠 K-뷰티, 불 붙은 의료관광 인기
외국인 의료관광 소비액은 2023년 이후 급등세로 올해 4월 사상 최대치 경신(출처: 한국관광공사)
└ 이중 피부과 비중은 전년대비 20% 수준에서 50% 이상으로 크게 확대
피부미용 및 성형 수술과 연계한 관광 상품이 인기를 얻으며, 의료관광 시장은 2조원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 중
휴젤은 전 제품군에 고른 성장에 힘입어 2025년 1분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 달성, 핵심 제품인 ‘보톨렉스’는 글로벌 시장 확대
파마리서치는 ‘리쥬란’ 실적 확대로 25년 1분기 영업이익 447억 원을 기록(전년 동기 대비 67.7% 증가)
K-뷰티 유망 산업 투자, ETF 하나로! 🍀
HANARO K-뷰티 ETF
📌상품 개요
안티에이징부터 글로벌 뷰티 열풍까지, 확장하는 K-뷰티 산업의 성장을 함께하는 ETF
🎯투자포인트
K-뷰티 관련(화장품, 필러/보톡스 등) 국내 20개 종목에 투자
국내 화장품 밸류체인 및 미용시술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
글로벌 소비자들의 K-뷰티 관심 증가로 관련 업체 수혜 기대
💡포트폴리오
구분 | 종목명 | 편입비중(%) |
1 | 아모레퍼시픽 | 14.5 |
2 | 에이피알 | 12.3 |
3 | LG생활건강 | 11.97 |
4 | 파마리서치 | 10.76 |
5 | 코스맥스 | 8.04 |
6 | 휴젤 | 7.44 |
7 | 실리콘투 | 7.18 |
8 | 한국콜마 | 5.58 |
9 | 달바글로벌 | 5.41 |
10 | 메디톡스 | 3.3 |
*출처: NH-Amundi자산운용, 2025년 6월 18일 기준
*포트폴리오는 운용 계획 또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K푸드와 K뷰티 산업은 단기적 트렌드를 넘어 글로벌 문화로 자리잡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입니다. K푸드 산업의 경우 지난 4월 10년간 2배가량의 수출 성장을 기록했으며, 국내 화장품 산업 역시 작년 대비 20.3%가량의 수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또한, 지난 4월 외국인 의료관광 소비액 역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은 물론, 앞으로의 성장세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수출 실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증명 중인 K-푸드 및 K-뷰티에 투자하고 싶다면, 각 산업을 선도 중인 유망 기업들을 선별 투자하는 HANARO Fn K-푸드 ETF와 K-뷰티 ETF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상품 개요]
종목명 | HANARO Fn K-푸드 | HANARO K-뷰티 |
종목코드 | 438900 | 479850 |
위험등급 | 2등급(높은 위험) | 2등급(높은 위험) |
합성 총보수(연) | 0.5312% (집합투자업자 0.36%, 지정참가회사 0.05%, 신탁업자0.02%, 일반사무관리0.02%) 2024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2% 발생 | 0.5408% (집합투자업자 0.40%, 지정참가회사 0.01%, 신탁업자0.02%, 일반사무관리0.02%) 2024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176% 발생 |
NH-Amundi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0637호(2025.06.19~2026.06.18)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 가치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 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 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ETF 거래 수수료,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 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정보는 단순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의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안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