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정보

NH-Amundi Pick

TDF 펀드의 뜻과 선택 방법 그리고 하나로 TDF 핵심 포인트!

등록일
2025.06.26
관련 태그
공유
관심등록



퇴직 연금 대세 펀드라는 TDF, 그 뜻과 특징은 무엇이고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 궁금하시다면 이번 포스트에 주목하세요! 👩‍🏫 23년 말 기준, 한국의 퇴직연금 10년 평균 수익률은 2.07%에 불과했는데요. 지난해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3%를 기록한 것을 고려한다면 다소 아쉬움이 남는 수치입니다. 반면 미국과 영국, 호주 등 선진국의 10년간 퇴직연금 수익률은 8~10%에 달하는데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퇴직연금 운용의 비결 그리고 스마트한 퇴직연금 운용 수단으로 주목받는 TDF의 개념과 투자 포인트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트 핵심 요약

퇴직연금은 △장수 리스크 △인플레이션 △유동성 등 다양한 니즈를 고려한 운용 전략 필요

TDF는 타겟 데이트에 맞춰 포트폴리오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

하나로 TDF는 Allspring, Amundi의 ‘글로벌 역량’에 ‘한국인 맞춤 설계’를 더하여 효과적인 운용 기대




성장하는 미국의 퇴직연금, 그 비결은? 💵

미국의 퇴직연금 트렌드와 주요 경향


  • 하나로TDF 자문사이자, 세계 최초로 TDF를 출시한 Allspring에 따르면 미국 DC형 퇴직연금의 성과는 운용 방법에 따라 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기록

  • 대다수의 은퇴자들은 은퇴 후에도 지속적인 자산 성장을 추구, 유연한 자금 인출과 개인 맞춤형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 충분한 은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수 리스크 △인플레이션 △유동성 등 다양한 니즈를 고려해야 함

  • TDF는 은퇴자들의 니즈를 균형적으로 반영한 대표적인 투자 상품으로 주목

*출처: 2022 EBRI/ICI Participant-Directed Retirement Plan Data Collection Project




은퇴 후 자산배분 핵심 포인트 💰

투자 자산 비중 조절을 통한 지속적인 자산 증식 및 안정성 추구


👨‍💻지속적인 자산 증식을 위한 ‘운용’

  • 지속 가능한 은퇴자금 확보를 위해선 은퇴 이후에도 지속적인 자산 증식이 필요

  • 주식 비중을 일정 수준(40% 전후)으로 유지하는 것이 자산 고갈 확률을 안정화



📊비중 조절을 통한 자산의 안정성 추구

  • 장수 리스크와 인플레이션에 방어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안정성이 중요

  • 하나로 TDF는 은퇴 시점에 맞춰 투자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추구





TDF가 퇴직연금 펀드 대표 주자인 이유는?😎

TDF의 정의와 내 은퇴에 맞춘 TDF 선택 방법



📚TDF(Target Date Fund)의 정의

  • 은퇴 시점, 목표 자금 시점 등 타겟 데이트(목표 시점)에 맞춰 포트폴리오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펀드

  • 은퇴 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위험자산의 비중은 줄이고, 안정자산의 투자 비중을 확대


📋TDF 선택 방법

  • TDF는 상품명 뒤에 타겟 데이트(목표 시점)를 빈티지로 표시하여 표시

  • 투자자 자신의 예상 은퇴 시점에 맞는 빈티지를 선택




  • 또는 자신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상품 선택





‘글로벌 역량’에 ‘한국인 맞춤 설계’를 더한 TDF 📊

- NH-Amundi 하나로 TDF




📌상품 개요

  • 펀드 ‘하나로’ 은퇴를 준비할 수 있는 퇴직연금 특화 펀드


🎯투자 포인트

① 글로벌 운용사와 협업

  • 하나로TDF의 자문사이자 1994년 전세계 최초로 TDF를 출시한 Allspring의 노하우를 펀드 운용에 활용

  •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Amundi와 운용 프로세스 공유


② 적극적인 위험관리를 통한 손실 방어

  • 시장 급락 시 선물 매도를 통해 손실을 방어하는 ‘동적 리스크 관리’ 수행

  • 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 시 ‘부분 환 노출 전략’으로 펀드 수익률 하락 위험 방어 추구


③ 팩터 기반 투자로 수익률 향상 추구

  • 체계적 규칙과 데이터 기반의 투자를 추구하는 팩터 전략을 펀드 운용에 활용함으로써 액티브 전략을 체계적으로 구사

  • 장기적으로 시장 대비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팩터 투자는 목표 시점에 맞춰 운용하는 TDF에 효과적인 투자 전략으로 기대



📊운용 성과

  • 6월 10일 기준, 하나로 TDF 2040 전체 TDF 중 3년 수익률 1위 기록(+37.22%) (퇴직연금 클래스 기준, 출처: 제로인)

  • AUM(자산 운용 규모) 상위 5개사 TDF 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 낮은 변동성, 높은 샤프비율 달성




지속 가능한 노후를 위한 지속적인 자산 증식의 수단 중 하나인 퇴직연금. 그러나 퇴직연금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장수 리스크 △인플레이션 △유동성 등 여러 니즈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투자 자산 비중 조절을 통해 자산 증식을 추구하는 동시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NH-Amundi 하나로 TDF는 글로벌 운용사 Allspring과 Amundi의 ‘글로벌 역량’과 ‘한국인 맞춤 설계’를 적용하여, 단 하나의 펀드 투자로도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은퇴 자금 준비 및 퇴직연금 운용 방법을 고민 중인 투자자라면 하나로 TDF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고, 여러분이 꿈꾸는 미래를 위한 현명한 투자 전략을 실천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상품 개요] 

구분

연간 보수 및 증권거래비용(직전회계연도)

Class A

Class C

Class C-P1(연금저축)

Class C-P2(퇴직연금)

NH-Amundi

하나로 TDF 2025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0.8647%

증권거래비용 0.0408%

합성총보수 1.1213%

증권거래비용 0.0435%

합성총보수 0.9301%

증권거래비용 0.0429%

합성총보수 0.8918%

증권거래비용 0.0425%

NH-Amundi

하나로 TDF 2030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0.8243%

증권거래비용 0.057%

합성총보수 1.077%

증권거래비용 0.0612%

합성총보수 0.886%

증권거래비용 0.0592%

합성총보수 0.8482%

증권거래비용 0.0599%

NH-Amundi

하나로 TDF 2035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1.0309%

증권거래비용 0.0659%

합성총보수 1.2518%

증권거래비용 0.0622%

합성총보수 0.886%

증권거래비용 0.0592%

합성총보수 0.942%

증권거래비용 0.0628%

NH-Amundi

하나로 TDF 2040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1.1865%

증권거래비용 0.0439%

합성총보수 1.5474%

증권거래비용 0.0494%

합성총보수 1.181%

증권거래비용 0.0451%

합성총보수 1.1323%

증권거래비용 0.0443%

NH-Amundi

하나로 TDF 2045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1.2373%

증권거래비용 0.0622%

합성총보수 1.4961%

증권거래비용 0.0482%

합성총보수 1.1386%

증권거래비용 0.0608%

합성총보수 1.0883%

증권거래비용 0.0605%

NH-Amundi

하나로 TDF 2050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1.3629%

증권거래비용 0.0822%

합성총보수 1.6429%

증권거래비용 0.0643%

합성총보수 1.2593%

증권거래비용 0.0525%

합성총보수 1.21%

증권거래비용 0.0519%

NH-Amundi

하나로 TDF 2055

증권투자신탁

[주식혼합-재간접형]

합성총보수 1.4392%

증권거래비용 0.0507%

합성총보수 1.6603%

증권거래비용 0.0463%

합성총보수 1.2904%

증권거래비용 0.0389%

합성총보수 1.3793%

증권거래비용 0.064%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 2055

3등급(다소 높은 위험) – 2035, 2040, 2045, 2050

4등급(보통 위험) – 2025, 2030

환매방법

17시 이전(경과 후) 5(6)영업일 기준가 적용 8(9) 영업일 지급

환매수수료

없음


NH-Amundi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0660호(2025.06.26~2026.06.25)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 가치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 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 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종류형 펀드의 경우, 종류형 집합투자증권에 부과되는 보수, 수수료 차이로 운용실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 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정보는 단순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의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안됩니다. 



목록으로